화성특례시는 1일 제135주년 노동절을 맞아 노동자를 위해 전국 최초로 공장 화재위험지도를 신설하고 산업안전지킴이 제도를 도입하는 등 선도적인 노동정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화성특례시는 과거부터 노동자와 깊은 인연을 맺어온 도시다. 조선시대에 농업과 상업이 활발히 이뤄졌던 화성 지역은 현대에 들어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제조업 중심지로 성장했다. 특히, 산업화 이후 수도권 서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대규모 산업단지 조성과 기업 유치가 본격화되면서, 화성은 노동과 산업이 함께 발전하는 도시로 자리매김했다.
2023년 기준, 화성특례시에는 경기도 내 최대 규모인 총 2만 6,689개의 제조업체가 소재하고 있으며, 제조업체 종사자 수는 26만 6,142명으로 경기도 1위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2만 6,333명에 달하는 외국인 노동자들이 화성의 산업현장에서 함께 땀을 흘리며 화성특례시는 사람과 산업이 함께 성장하는 도시로 한걸음 더 나아가고 있다.
노동자의 구슬땀으로 다져진 제조업 기반의 산업환경과 노동 현장의 끊임없는 노력은 화성특례시의 지속적인 인구 증가와 경제 성장을 이끌어왔다. 이에 화성특례시는 노동자의 땀과 노력이 정당하게 존중받는 도시, 누구나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화성특례시는 지난해 10월, 노동자가 안전하게 일할 수 있는 산업환경 조성을 목표로 기존 기업투자실 산하에 ‘노사협력과’를 신설했다. 노사협력과는 △노사협력팀 △산업안전팀 △이주노동자지원팀 등 총 3개 팀으로 구성되어, 노사 상생, 산업안전 강화, 외국인 근로자 지원 등 노동 관련 행정 전반을 전문적으로 담당하고 있다.
또한 시는 산업현장 내 재난과 화재 등 위기 상황에 보다 체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재난대응과’를 신설하고 △재난행정팀 △사회재난팀 △자연재난팀 △365상황팀 △사고대응팀 등 5개 팀 체제로 재편했다. 이를 통해 재난 발생 시 보다 신속하고 조직적인 대응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산업현장의 안전수준을 한층 높이고 있다.
이어 시는 올해 1월, 전국 최초로 공장지역 화재 위험지도를 구축했다. 화재 위험지도는 공간정보시스템을 활용해 공장 및 인근 위험 요소 등 총 25개 분야, 26,742건의 데이터를 반영했으며, 화재 발생 반경 내 위험 요소 정보를 실시간 제공해 신속한 상황 판단과 즉각적인 대응과 복구 지원계획 수립이 가능해졌다. 이를 통해 골든타임 확보와 2차 피해 방지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화성특례시는 앞으로도 현장 안전관리와 복지 지원을 바탕으로 노동자의 생명과 권익을 지키는 ‘노동존중 도시’ 실현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은 “노동절을 맞아 묵묵히 땀 흘려온 모든 노동자 여러분께 진심 어린 감사와 존경을 전한다”며, “노동자의 구슬땀이 쌓여 오늘의 화성특례시를 만들었고 그 땀이 인구 증가와 경제 성장을 이끈 원동력이 됐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노동자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복지와 권익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는 정책을 꾸준히 펼치겠다”며, “노동이 존중받고, 땀의 가치가 인정받는 도시, 일하는 것이 자부심이 되는 도시를 노동자와 함께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1stn@hanmail.net 김영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