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시의회(의장 안정열)는 SK E&S와 한국중부발전이 공동 추진하는 LNG 열병합발전소(집단에너지 시설) 건설과 한국전력공사에서 추진하는 345kV 초고압 송전선로 3개 노선 건설사업이 안성 시민의 생존권과 지역 환경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계획이라는 판단 아래, 일관되게 반대 입장을 밝혔다.
이에 안성시의회는 해당 사업들에 대해 강력한 반대 의지를 다시 한번 분명히 밝혔다.
LNG 발전소가 안성 경계에서 불과 2.5km 떨어진 원삼면에 들어서는 만큼, 대기질 악화, 온배수·폐수 유입에 따른 고삼호수 수질 영향, 주변 농업·축산업 피해 등 직·간접적 영향이 불가피하다.
안성시는 초고압 송전선로·환경 부담 시설 등 중첩된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는 안성 시민에게만 지나치게 과도한 희생을 강요하는 비정상적인 전력 인프라 계획이다.
안성시의회는 이 사안이 단순한 시설 건립을 넘어 시민들의 삶과 지역의 지속 가능성을 좌우하는 중대한 문제임을 전했다.
또한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추진되는 신원주~동용인, 신중부~신용인, 북천안~신기흥 등 3개 노선의 송전선로는 모두 안성시를 동시 관통하도록 설계돼 있다.
전국 어디에서도 3개의 초고압 송전선로가 한 지역을 중첩해 지나가는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는 단순한 시설 설치를 넘어 전자파 노출 증가, 주거·경관 훼손, 지가 하락, 농축산업 기반 붕괴, 장기적인 건강권 침해 등 시민의 삶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라고 전했다.
안성시의회는 이러한 상황을 ‘단순한 기반시설 설치’가 아닌 지역 생존권을 침해하는 구조적 문제로 보고 있으며, 더는 방관하거나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주민들은 이미 오염시설과 환경 부담이 누적된 안성 지역의 현실을 지적하며 LNG 발전소와 초고압 송전선로의 추가 입지는 결코 수용할 수 없다는 강한 뜻을 밝혔다.
일부 시의원들은 국회를 방문해 환경영향평가 재실시와 사업 전면 재검토를 요청했으며, 범시민 비상대책위원회 발대식에도 함께 참석해 시민과 뜻을 모으기도 했다.
안성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2021~2023년 시·군·구별 진료통계에 따르면, 안성시의 호흡기계 질환 외래 진료 인원은 2021년 72,213명에서 2023년 121,425명으로 약 68% 증가하여 경기도 내에서도 매우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는 안성시가 이미 대기오염에 취약한 지역임을 명확히 보여주는 자료이며, 이 같은 상황에서 기피 시설이 추가되면 시민 건강 피해는 더욱 심각해질 수밖에 없고 반도체 산업이 국가 경쟁력에 중요한 것은 사실이지만, 용인시와 SK E&S가 추진하는 발전소·송전선로 사업이 국가 산업을 이유로 지역과 시민에게 일방적 희생을 강요하는 구조임을 지적했다.
이에 안성시의회는 △ 송전선로 3개 노선의 안성 중복 통과 계획 전면 철회 △ 최대 495기까지 증가할 수 있는 추가 송전탑 설치 계획 즉각 백지화 △ 시민 동의 없는 일방적 설명회 및 행정 절차 즉시 중단 △ 안성시와 지역 정치권의 명확한 공식 입장 표명을 강력히 촉구했다.
안성시의회는 안성 시민의 건강과 권리, 안전을 지키기 위해 어떤 희생도 감수하며 끝까지 싸울 것이며 안성시를 수도권 전력 공급을 위한 희생 지대가 될 수 없게 안성시민과 함께 막아낼것을 다짐했다.
nv1225@hanmail.net 이선형기자






















